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2016.09.04 09:12

비움의 미학

조회 수 4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허심탄회(虛心坦懷), 정치인들이나 교양 있고 학식 있는 분들이 자주 쓰는 사자성어 가운데 하나이다. ‘빈 듯이 소탈한 마음이 허심(虛心)이라 하고, 평탄 하고도 너그러운 마음을 탄회(坦懷)라고 말하지만, 그들의 허심탄회가 얼마나 허(虛)한 것인지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다 안다, 이처럼 ’마음을 비운다‘는 말이 쉬운 듯 하지만, 정말 이 말을 실천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참으로 힘든 일이며 아무나 그런 경지에 오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오늘은 대나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인터넷에 대나무를 검색해 보면 볏과의 풀(초본식물)의 일종인 식물. 나무(목본식물)와 달리 제대로 된 목질 없이 키를 키우며, 자라면서 굵어지지도 않고, 꽃을 피우고 나면 죽는다. 라고 나옵니다. 흔히들 나무라고 하지만 이 녀석의 정체는 풀입니다. 한자로도 '나무 목(木)'자 부수의 글자가 아닌 '대 죽(竹)'자를 쓰는 것을 보면 분명 그런 것 같습니다.

대나무와 죽순의 차이, 속이 꽉 차 있는 죽순에 비해 대나무는 속이 비어 있습니다. 그래서 예로부터 죽순은 땅의 기운을 받고 살고 대나무는 하늘의 기운을 받고 산다고 하던가요? 맹종죽이라는 대나무의 죽순은 흔히 식용으로 쓰이는데 그 크기가 두 손 으로 감싸야 할 정도이다. 얼마의 시간이 흘러 무거워진 죽순은 속을 비워내기 시작하면서 대나무가 되어 갑니다. 자아로 가득 찬 그 속을 비워 내면서 하늘로 치솟아 오르는 거지요. 속을 비워 내지 않으면 하늘에 이를 수 없음을 알고, 해가 갈수록 대나무는 강도를 더해 속은 비우되 겉은 더욱 단단해지는 외실내강의 의미를 공고히 다지는 거지요.

필리피서 2, 6 - 그분께서는 하느님의 모습을 지니셨지만 하느님과 같음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지 않으시고 오히려 당신 자신을 비우시어 종의 모습을 취하시고 사람들과 같이 되셨습니다. 이렇게 여느 사람처럼 나타나 당신 자신을 낮추시어 죽음에 이르기까지, 십자가 죽음에 이르기까지 순종하셨습니다. 우리가 비우고 덜어 내야 하는 이유는 하느님의 영께서 내 안에 오시고 나를 이끄시는 주체이시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하느님께서는)우리 안에서 활동하시는 힘으로, 우리가 청하거나 생각하는 모든 것보다 훨씬 더 풍성히 이루어 주실 수 있는 분(이십니다). 에페 3,20

새삼 속을 비워낸 대나무에게서 허심과 겸손을 배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1 어느교회 - 퍼온글... 정윤규(파스칼) 2012.01.26 240
200 라면교..! (우스운글) 정윤규(파스칼) 2012.01.26 264
199 내게 하느님은 3등입니다...! 정윤규(파스칼) 2012.01.26 246
198 두손이 없는 동상 정윤규(파스칼) 2012.01.26 335
197 아빠 소금 넣어 드릴께요..! 정윤규(파스칼) 2012.01.26 250
196 양심 성찰 - 가져 온 글 정윤규(파스칼) 2012.03.04 218
195 십자가의 주님. 정윤규(파스칼) 2012.03.04 260
194 기도의 열매 - 마더 데레사 정윤규(파스칼) 2012.03.04 265
193 오늘만큼은 행복하라 정윤규(파스칼) 2012.03.04 210
192 나는 어떻게 기도를 하는가? 정윤규(파스칼) 2012.03.04 229
191 증거하는 믿음 정윤규(파스칼) 2012.03.05 234
190 교회란 존재의 의미 정윤규(파스칼) 2012.03.05 279
189 하느님 것은 하느님께로 정윤규(파스칼) 2012.03.05 258
188 사람의 따뜻한 손길 정윤규(파스칼) 2012.03.05 260
187 고해성사는 커다란 사랑의 행동 정윤규(파스칼) 2012.03.05 376
186 세월은 가고, 사람도 가지만 정윤규(파스칼) 2012.03.05 303
185 사정상급매 1 김주현(베드로) 2012.03.11 367
184 노인과 여인 정윤규(파스칼) 2012.05.28 317
183 간디와 사탕 정윤규(파스칼) 2012.05.28 302
182 고개를 숙이면 부딫히는 법이 없다 정윤규(파스칼) 2012.05.28 324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