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2017.10.16 13:13

틀림과 다름

조회 수 1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가 일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말이며, 가장 많이 틀리는 두 단어가 있다. 바로 ‘다르다’와 ‘틀리다’ 이다. 그 이유는 '틀리다'의 뜻을 '같지 않다'로 잘못 이해하고 쓰기 때문이다. 그럼 두 단어는 어떻게 다를까요?

표준 국어 대사전에 나오는 동사 ‘틀리다’는, 옳은 것이나 표준적인 것이 아닌 상태, 혹은 이미 주어진 것이나 이전의 말과 마땅히 같아야 함에도 달라진 상태를 말하고, 형용사 ‘다르다’는 둘 이상의 대상들을 비교, 서로 같지 않을 때 ‘다르다’라고 하는 게 옳은 표현일 것입니다.

중요한 사실은 ‘다르다’라고 인식하는 것과 ‘틀리다’라고 인식하는 것의 차이는 매우 크다는 것입니다. ‘다르다’라고 인식하는 것은 ‘내가 생각하는 것과 차이가 있지만 그럴 수도 있겠다.’라는 관용의 마음이 일부 포함되어 있고, 그 말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을 의미 하지만, ‘틀리다’라고 인식하는 것은 “너는 잘못 생각하고 있고, 내가 맞는 거야”라는 평가와 판단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틀리다'와 '다르다'는 그 서술어로 만들 수 있는 문법 구조 자체가 다르다. '틀리다'라는 말은 서술의 대상이 하나만 명기해도 되지만, '다르다'라는 말은 서술의 대상과 그 비교 대상이 반드시 같이 명기되어야 한다. 두 단어의 의미를 생각해 보면 명백하다. 그래도 구분이 잘 안될 경우에는 반대말을 생각하면 쉽다. ‘다르다’의 반대말은 ‘같다’이고, ‘틀리다’의 상대어는 ‘맞다’이다. 따라서 ‘다르다’는 ‘같지 않다’를, ‘틀리다’는 ‘맞지 않다’를 뜻할 때 쓰면 됩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우리는 “내 생각은 너와 틀려” “얼굴이 틀린데” “맛이 틀려” 라고 사용하는데, “내 생각은 너와 달라” “얼굴이 다른데” “맛이 달라”가 바른 표기일 것이다.

‘다르다’와 ‘틀리다’를 명백하게 구분하지 않는 이면에는 다른 것은 틀린 것이라는 무의식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단지 다른 것이라면 거부감 없이 객관적인 사실로서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겠지만, 이 글을 쓰는 홍보 분과장인 저와 이 글을 읽는 우리 구암 성당 교우 여러분들과의 생각은 다릅니다. 내가 어떤 특별한 기술을 사용해서 글을 쓴다고 하더라도, 내가 지금 갖고 있는 생각을 완전히 복사하여 우리 구암 교우 여러분들의 머릿속에 우겨 넣을 수는 없습니다. 같은 장소, 같은 시간, 같은 것을 바라보더라도 서로 받아들이는 정보는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제가 교우 여러분이 틀렸습니다. 혹은 교우 여러분께서 저보고 틀렸다. 라고 얘기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서로 다른 사람이 갖고 있는 서로 다른 세상의, 서로 다른 잣대. 그것을 인정하는 순간, ‘다름’이 결코 ‘틀림’은 아니라고 이야기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정윤규 파스칼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1 우리 아이들의 신앙도 ... 소중합니다. 프란체스카 2009.04.08 1170
240 기본에 충실하자 구암관리자 2017.05.14 1143
239 메타노이아(metanoia.) 구암관리자 2017.07.23 1010
238 사람 낚는 어부, 사람 낚는 그물 file 아타나시오 2015.11.30 982
237 hallelujah, hallelujah, hallelujah 알렐루야, 알렐루야, 알렐루야, 부활을 축하 드립니다.^^ file 구암관리자 2016.03.27 939
236 방하착(放下着), 착득거(着得去) 구암관리자 2018.09.30 793
235 세례를 받으며 소감발표문 구암관리자 2016.10.11 761
234 5월 성모성심 정윤규(파스칼) 2011.06.01 729
233 아버지의뜻 정윤규(파스칼) 2013.01.15 692
232 "그는 톤즈의 슈바이처가 아닌 톤즈의 돈 보스코입니다" 정윤규(파스칼) 2011.06.25 692
231 내 안에 그리스도가 형성될 때 까지 정윤규(파스칼) 2011.10.18 682
230 성김대건안드레아 성인 정윤규(파스칼) 2011.09.26 653
229 부산 서대신 성당 주임 신부님 이신 신 요안(요한) 신부님 사순특강전 영상 입니다. 구암관리자 2016.03.13 638
228 미사 예절 정윤규(파스칼) 2011.06.01 619
227 유머-수녀원 앵무새와 사제관 앵무새 정윤규(파스칼) 2011.09.18 600
226 기도하고 일하라 정윤규(파스칼) 2011.07.05 591
225 구유 : 아기 예수님을 모신 자리 file 아타나시오 2015.12.26 588
224 웃긴 글 한편(퍼온글이니 그냥 웃기만 하세요 ) 정윤규(파스칼) 2011.06.11 567
223 우리도 셋, 당신도 셋, 주님 자비를 베푸소서 정윤규(파스칼) 2013.01.15 558
222 퍼온글(고해성사) 정윤규(파스칼) 2011.07.05 55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