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2017.10.16 13:13

틀림과 다름

조회 수 1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가 일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말이며, 가장 많이 틀리는 두 단어가 있다. 바로 ‘다르다’와 ‘틀리다’ 이다. 그 이유는 '틀리다'의 뜻을 '같지 않다'로 잘못 이해하고 쓰기 때문이다. 그럼 두 단어는 어떻게 다를까요?

표준 국어 대사전에 나오는 동사 ‘틀리다’는, 옳은 것이나 표준적인 것이 아닌 상태, 혹은 이미 주어진 것이나 이전의 말과 마땅히 같아야 함에도 달라진 상태를 말하고, 형용사 ‘다르다’는 둘 이상의 대상들을 비교, 서로 같지 않을 때 ‘다르다’라고 하는 게 옳은 표현일 것입니다.

중요한 사실은 ‘다르다’라고 인식하는 것과 ‘틀리다’라고 인식하는 것의 차이는 매우 크다는 것입니다. ‘다르다’라고 인식하는 것은 ‘내가 생각하는 것과 차이가 있지만 그럴 수도 있겠다.’라는 관용의 마음이 일부 포함되어 있고, 그 말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을 의미 하지만, ‘틀리다’라고 인식하는 것은 “너는 잘못 생각하고 있고, 내가 맞는 거야”라는 평가와 판단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틀리다'와 '다르다'는 그 서술어로 만들 수 있는 문법 구조 자체가 다르다. '틀리다'라는 말은 서술의 대상이 하나만 명기해도 되지만, '다르다'라는 말은 서술의 대상과 그 비교 대상이 반드시 같이 명기되어야 한다. 두 단어의 의미를 생각해 보면 명백하다. 그래도 구분이 잘 안될 경우에는 반대말을 생각하면 쉽다. ‘다르다’의 반대말은 ‘같다’이고, ‘틀리다’의 상대어는 ‘맞다’이다. 따라서 ‘다르다’는 ‘같지 않다’를, ‘틀리다’는 ‘맞지 않다’를 뜻할 때 쓰면 됩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우리는 “내 생각은 너와 틀려” “얼굴이 틀린데” “맛이 틀려” 라고 사용하는데, “내 생각은 너와 달라” “얼굴이 다른데” “맛이 달라”가 바른 표기일 것이다.

‘다르다’와 ‘틀리다’를 명백하게 구분하지 않는 이면에는 다른 것은 틀린 것이라는 무의식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단지 다른 것이라면 거부감 없이 객관적인 사실로서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겠지만, 이 글을 쓰는 홍보 분과장인 저와 이 글을 읽는 우리 구암 성당 교우 여러분들과의 생각은 다릅니다. 내가 어떤 특별한 기술을 사용해서 글을 쓴다고 하더라도, 내가 지금 갖고 있는 생각을 완전히 복사하여 우리 구암 교우 여러분들의 머릿속에 우겨 넣을 수는 없습니다. 같은 장소, 같은 시간, 같은 것을 바라보더라도 서로 받아들이는 정보는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제가 교우 여러분이 틀렸습니다. 혹은 교우 여러분께서 저보고 틀렸다. 라고 얘기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서로 다른 사람이 갖고 있는 서로 다른 세상의, 서로 다른 잣대. 그것을 인정하는 순간, ‘다름’이 결코 ‘틀림’은 아니라고 이야기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정윤규 파스칼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2 기도 정윤규(파스칼) 2011.06.01 510
251 주님 승천 대축일 정윤규(파스칼) 2011.06.05 455
250 성령 강림 대축일 정윤규(파스칼) 2011.06.08 479
249 행복하게 만드는 칭찬 방법 10가지 정윤규(파스칼) 2011.06.11 359
248 웃긴 글 한편(퍼온글이니 그냥 웃기만 하세요 ) 정윤규(파스칼) 2011.06.11 577
247 (유머)경상도 아버지의 시간 개념-퍼온글 정윤규(파스칼) 2011.06.13 430
246 십자가의 무게 정윤규(파스칼) 2011.06.13 405
245 가톨릭 용어해설 정윤규(파스칼) 2011.06.17 2386
244 나의 기도 1 - 이제민 신부의 인생 낱말 사전 정윤규(파스칼) 2011.06.20 427
243 예쁜 마음 그릇 - 가져온글 정윤규(파스칼) 2011.06.22 388
242 아이는 부모의 거울입니다... 정윤규(파스칼) 2011.06.22 454
241 "그는 톤즈의 슈바이처가 아닌 톤즈의 돈 보스코입니다" 정윤규(파스칼) 2011.06.25 697
240 (퍼온글) 기러기 이야기 - 리더의 날개짓 정윤규(파스칼) 2011.06.27 561
239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님의 마지막 편지 정윤규(파스칼) 2011.06.27 522
238 기도하고 일하라 정윤규(파스칼) 2011.07.05 600
237 (퍼온글)-용서는 모래에 새기고 은혜는 돌에 새겨라 정윤규(파스칼) 2011.07.05 435
236 퍼온글(고해성사) 정윤규(파스칼) 2011.07.05 563
235 비행기와 히포크라테스 - (퍼온글) 정윤규(파스칼) 2011.08.16 415
234 함께 가는길...(퍼온글) 정윤규(파스칼) 2011.09.18 327
233 기도(퍼온글) 정윤규(파스칼) 2011.09.18 26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