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조회 수 6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0||0김대건(金大建, 1821년 8월 21일 ~ 1846년 9월 16일, 세례명: 안드레아)은 한국 기독교역사 최초의 한국인 천주교 신부이자, 천주교회 순교자이다. 어린 시절 이름은 김재복(金再福)이었으며, 세례명으로 쓰일 때는 대건 안드레아로 한다. 천주교의 성인으로 축일(기념일)은 7월 5일이다. 그의 세례명 안드레아는 아버지 김제준의 동생이자 순교자인, 김대건의 작은 아버지 김한현(김종한이라고도 하지만 본명을 따라 김한현 이라고 이름을 통일하였다.)의 세례명을 이어받았다

1821년 8월 21일 충청남도 솔뫼(현 충청남도 당진군 우강면에 위치한 작은 마을)에서 김제준(金濟俊, 1796년 ~ 1839년, 세례명 이냐시오, 기해박해가 일어난 1839년 9월 26일 서소문밖 형장에서 참수로 순교. 1984년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시성)와 고 우르술라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고조부 김진후(金震厚, 1738년~1814년, 세례명 비오) 이후 집안 대대로 천주교를 믿었다. 김진후는 본래 하급관리였다가 며느리의 모범적인 행실을 보고 천주교 신자가 되었다. 1791년(신해박해)에 체포되어 1801년(신유박해) 때 배교하여 유배되었다가 1805년 해미읍성으로 압송되어 사형처결을 받았다. 배교한 잘못을 뉘우친 김진후는 해미읍성에서는 형리들을 감화시켰다고 전해질 정도로 신앙의 절개를 지켰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형은 집행되지 않았으며, 충청도 해미읍성에서 10년 동안 옥살이를 하다가 1814년에 옥에서 죽었다


김대건은 1844년 부제서품을 받았으며, 1845년 8월 17일 상하이의 금가항(金家港)교회에서 천주교 조선교구장(한국 천주교는 1831년 천주교 조선교구로 설정되었다.)인 장조제프 페레올 주교의 서품성사 집전으로 사제 서품을 받았다. 그해 10월 조선에 도착하여 12월까지 한양과 경기도 일대에서 기해박해 당시 교회 지도자들인 선교사들의 순교로 교회가 무력화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사목을 했으며, 남편과 사별한 후 거지꼴을 면하지 못하던 어머니를 위로했다.

순교천주교 조선교구장 페레올 주교의 조선 입국을 돕기 위해 활동하던 김대건은 경기도 연평도 앞바다에 페레올 주교의 조선입국에 필요한 비밀 항로가 있음을 알아내었다. 그러나 1846년 6월 15일 그 항로를 그린 지도를 중국으로 가는 중국 어선에 넘겨주려다가 연평도 부근에서 순찰하던 관헌들에게 체포되어 모진 고문을 받았다. 학식이 출중하여 옥중에서 몇몇 대신의 부탁으로 세계 지리에 관한 책을 만들었고, 또 영국에서 만든 세계 지도를 라틴어 실력을 발휘하여 번역과 함께 색칠하기도 했으며, 그 지도는 헌종에게 바쳐졌다. 일부 대신들은 김대건의 박학다식함을 아깝게 생각하여 구명운동을 벌였으나, 김대건이 신학공부와 사목을 위해 외국인들과 접촉한 사실을 반역죄로 처벌해야 한다는 영의정 권돈인의 주장에 따라 그해 9월 15일 반역죄로 참수형을 선고받았고, 이튿날 새남터에서 참수되어 순교의 길을 걸었다. 김대건의 시체는 새남터 모래밭에 가매장되었으나, 17세의 청소년이 시신을 수습하여 장례를 치렀다. 헌종이 김대건의 사형을 허가한 일을 기록한 《조선왕조실록》 1846년 음력 7월 25일자 기사에는 김대건의 순교에 대해 다음과 같이 나와 있다.

임금이 희정당(熙政堂) 에 나아가 대신과 비국 당상을 인견하였다. 사학 죄인(邪學罪人, 천주교 신자) 김대건(金大建)을 효수(梟首)하라고 명하였다. 김대건은 용인(龍仁)사람으로서 나이 15세에 달아나 광동(廣東) 에 들어가서 양교(洋敎, 천주교)를 배우고, 계묘년(1843년, 헌종 9년)에 현석문(玄錫文)등과 결탁하여 몰래 돌아와 도하(都下)에서 교주(敎主)가 되었다. 이 해 봄에 해서(海西)에 가서 고기잡이하는 당선(唐船, 중국 어선)을 만나 광동에 있는 양한(洋漢, 천주교 조선교구장 페레올 주교)에게 글을 부치려 하다가 그 지방 사람에게 잡혔는데, 처음에는 중국 사람이라 하였으나 마침내 그 본말(本末)을 사실대로 고하였다. 포청(捕廳)에서 한 달에 걸쳐 힐문하였는데, 그 말하는 것이 교활하여 양박(洋舶, 서양 배)의 강한 것을 믿고 협박하여 말하기를, ‘우리나라에서 마침내 그 교(敎)를 금할 수 없을 것이다. 은전(銀錢, 은으로 만든 돈)을 흩어서 경외(京外)에서 흔하게 쓰는 재화는 다 양한이 책중(柵中)에서 실어 보낸 것이다.’하였다. 또 스스로 말하기를, ‘양외(洋外, 서양)의 제번(諸蕃, 모든 나라)의 말에 능통하므로, 천주교 신부(神父)로서 각국을 위하여 통사(通事, 서양말을 한국말로 옮겨서 말함)한다.'하였다. 이 때에 이르러 현석문과 아울러 같이 주벌(誅罰, 처벌내용에 대해 적음)하였는데, 현석문은 신유년(1801년, 순조 원년)의 사도(邪徒, 천주교 신자)로 처형된 현계흠(玄啓欽)의 아들이다.

당시 그의 유언은 “주교님, 어머니를 부탁드립니다.”였다. 당시 천주교 조선교구장 페레올 주교에게 어머니의 안위를 부탁한 것이었다. 또한 순교하기 전 하느님을 경외하고 죄를 짓지 말라는 내용의 편지를 써서 박해받는 신자들을 격려하였다.

김대건이 참수형을 당하기 전에 한 말은 다음과 같다.:

“ 나는 이제 마지막 시간을 맞았으니 여러분은 내 말을 똑똑히 들으십시오. 내가 외국인들과 교섭한 것은 내 종교와 내 하느님을 위해서였습니다. 나는 천주를 위해 죽는 것입니다. 영원한 생명이 내게 시작되려고 합니다. 여러분이 죽은 뒤에 행복하기를 원하면 천주교를 믿으십시오. 천주께서는 당신을 무시한 자들에게는 영원한 벌을 주시는 까닭입니다.”

장례김대건의 목은 군문에 걸려 효수 당했으나, 비밀리에 천주교도들이 시신을 미리내 성지로 옮겼다. 1960년 7월 5일 김대건의 시신은 혜화동의 가톨릭대학교안의 교회에 이장되었다.

시성1857년 교황 비오 9세가 김대건을 가경자로 선포하였으며, 1960년 7월 5일 교황 비오 11세는 그를 복자로 선포하였고, 1984년 5월 6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성인으로 시성하였다. 현재 한국 천주교회의 성직자들의 수호성인으로 모셔지고 있다.

영성김대건은 하느님을 가리켜 임자라고 불렀다. 하느님은 세상을 만든 임자이기 때문에 그분을 알아보지 못하면 이 세상에 난 보람이 없고, 그분을 배반하면 차라리 이 세상에 아닌 난 것만 못하다는 것이 김대건의 영성이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1 성령 강림 대축일 구암관리자 2017.06.10 51
» 성김대건안드레아 성인 정윤규(파스칼) 2011.09.26 653
139 섬김의 향기 정윤규(파스칼) 2012.01.18 404
138 선교하는 삶 정윤규(파스칼) 2011.11.14 253
137 샬롬 하베림(Shalom Chaverim) 구암관리자 2017.04.23 510
136 새벽기도 /장시하 배미숙(율리안나) 2009.03.13 1243
135 새 것과 옛 것 구암관리자 2017.07.30 309
134 삼위일체 대축일 구암관리자 2017.06.10 39
133 살아있는것과 죽은 것 홈페이지관리자 2023.11.19 15
132 사제, 인류의 중개자 구암관리자 2016.09.11 134
131 사정상급매 1 김주현(베드로) 2012.03.11 367
130 사순의 시작 시기에.... 김인수(바오로) 2017.03.03 88
129 사마리아인에 대한 고찰 구암관리자 2016.06.11 90
128 사랑의 작을길을 함께 걸어요 정윤규(파스칼) 2011.09.18 329
127 사랑과 무관심 구암관리자 2016.03.14 136
126 사랑 구암관리자 2018.01.21 49
125 사람의 아들 앞에 서고 싶습니다 file 아타나시오 2015.11.28 249
124 사람의 따뜻한 손길 정윤규(파스칼) 2012.03.05 260
123 사람 낚는 어부, 사람 낚는 그물 file 아타나시오 2015.11.30 979
122 비행기와 히포크라테스 - (퍼온글) 정윤규(파스칼) 2011.08.16 410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 14 Next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