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세례로 그리스도와 하나가 된 우리

 

1 그렇다면 우리가 무엇이라고 말해야 합니까? 은총이 많아지도록 우리가 계속 죄 안에 머물러 있어야 합니까?

 

2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죄에서는 이미 죽은 우리가 어떻게 여전히 죄 안에 살 수 있겠습니까?

 

3 그리스도 예수님과 하나 되는 세례를 받은 우리가 모두 그분의 죽음과 하나 되는 세례를 받았다는 사실을 여러분은 모릅니까?

 

4 과연 우리는 그분의 죽음과 하나 되는 세례를 통하여 그분과 함께 묻혔습니다. 그리하여 그리스도께서 아버지의 영광을 통하여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되살아나신 것처럼, 우리도 새로운 삶을 살아가게 되었습니다.

 

5 사실 우리가 그분처럼 죽어 그분과 결합되었다면, 부활 때에도 분명히 그리될 것입니다.

 

6 우리는 압니다. 우리의 옛 인간이 그분과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힘으로써 죄의 지배를 받는 몸이 소멸하여, 우리가 더 이상 죄의 종노릇을 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7 죽은 사람은 죄에서 벗어나기 때문입니다.

 

8 그래서 우리가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으니 그분과 함께 살리라고 우리는 믿습니다.

 

9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되살아나시어 다시는 돌아가시지 않으리라는 것을 압니다. 죽음은 더 이상 그분 위에 군림하지 못합니다.

 

10 그분께서 돌아가신 것은 죄와 관련하여 단 한 번 돌아가신 것이고, 그분께서 사시는 것은 하느님을 위하여 사시는 것입니다.

 

11 이와 같이 여러분 자신도 죄에서는 죽었지만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하느님을 위하여 살고 있다고 생각하십시오.

 

12 그러므로 죄가 여러분의 죽을 몸을 지배하여 여러분이 그 욕망에 순종하는 일이 없도록 하십시오.

 

13 그리고 여러분의 지체를 불의의 도구로 죄에 넘기지 마십시오. 오히려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살아난 사람으로서 자신을 하느님께 바치고, 자기 지체를 의로움의 도구로 하느님께 바치십시오.

 

14 죄가 여러분 위에 군림할 수는 없습니다. 여러분은 율법 아래 있지 않고 은총 아래 있습니다.

 

그리스도인은 의로움의 종

15 그렇다면 우리가 무엇이라고 말해야 합니까? 우리가 율법 아래 있지 않고 은총 아래 있으니 죄를 지어도 좋습니까?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16 여러분이 어떤 사람에게 자신을 종으로 넘겨 순종하면 여러분이 순종하는 그 사람의 종이라는 사실을 모릅니까? 여러분은 죽음으로 이끄는 죄의 종이 되거나 의로움으로 이끄는 순종의 종이 되거나 하는 것입니다.

 

17 그러나 하느님께 감사하게도, 여러분이 전에는 죄의 종이었지만, 이제는 여러분이 전해 받은 표준 가르침에 마음으로부터 순종하게 되었습니다.

 

18 여러분은 죄에서 해방되어 의로움의 종이 되었습니다.

 

19 나는 여러분이 지닌 육의 나약성 때문에 사람들의 방식으로 말합니다. 여러분이 전에 자기 지체를 더러움과 불법에 종으로 넘겨 불법에 빠져 있었듯이, 이제는 자기 지체를 의로움에 종으로 바쳐 성화에 이르십시오.

 

20 여러분이 죄의 종이었을 때에는 의로움에 매이지 않았습니다.

 

21 그때에 여러분이 지금은 부끄럽게 여기는 것들을 행하여 무슨 소득을 거두었습니까? 그러한 것들의 끝은 죽음입니다.

 

22 그런데 이제 여러분이 죄에서 해방되고 하느님의 종이 되어 얻는 소득은 성화로 이끌어 줍니다. 또 그 끝은 영원한 생명입니다.

 

23 죄가 주는 품삯은 죽음이지만, 하느님의 은사는 우리 주 그리스도 예수님 안에서 받는 영원한 생명이기 때문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39 민수기 4장 1절49절 레위 지파 각 씨족의 직무 이민채율리안나 2016.06.29 66
1138 민수기 5장 1절31절 부정한 사람의 처리 이민채율리안나 2016.06.30 38
1137 민수기 6장 1절27절 나지르인 이민채율리안나 2016.06.30 106
1136 민수기 7장 1절89절 각 지파 수장들의 예물 이민채율리안나 2016.07.01 31
1135 민수기 8장 1절26절 등잔을 차려 놓는 방식 이민채율리안나 2016.07.01 88
1134 민수기 9장 1절23절 두 번째 파스카 축제 이민채율리안나 2016.07.02 46
1133 민수기 10장 1절36절 나팔 신호 이민채율리안나 2016.07.02 106
1132 민수기 11장 1절 35절 광야에서 백성이 불평하다 이민채율리안나 2016.07.03 78
1131 민수기 12장 1절16절 미르얌과 아론이 모세를 시기하다 이민채율리안나 2016.07.03 134
1130 민수기 13장 1절33절 정찰대를 가나안으로 보내다 이민채율리안나 2016.07.04 108
1129 민수기 14장 1절45절 백성이 반란을 일으키다 이민채율리안나 2016.07.04 56
1128 민수기 15장 1절 41절 여러 제물에 곁들이는 곡식 제물과 제주 이민채율리안나 2016.07.05 50
1127 민수기 16장 1절35절 코라와 다탄과 아비람의 반역 이민채율리안나 2016.07.05 110
1126 민수기 17장 1절28절 벌받아 죽은 이들의 향로로 제단을 씌우다 이민채율리안나 2016.07.06 78
1125 민수기 18장 1절32절 사제와 레위인의 직무 이민채율리안나 2016.07.06 59
1124 민수기 19장 1절22절 정화의 물 이민채율리안나 2016.07.07 64
1123 민수기 20장 1절29절 미르얌의 죽음 이민채율리안나 2016.07.07 50
1122 민수기 21장 1절35절 호르마를 점령하다 이민채율리안나 2016.07.08 64
1121 민수기 22장 1절 41절 모압 임금이 발라암을 불러오다 이민채율리안나 2016.07.08 94
1120 민수기 23장 1절30절 발라암의 첫 번째 신탁 이민채율리안나 2016.07.09 72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 63 Next
/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