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2015.10.23 18:52

전례의 범위와 종류

조회 수 12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전례의 범위와 종류


앞 시간에 살펴본 전례의 네 가지 본질 외에 전례는 '하느님 백성인 교회 공동체의 공적인 행위'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전례에 참여할 때는 개인적인 취향이나 생각에 따라 다른 동작이나 행동을 해서는 안 되며, 반드시 통일성이 요구된다.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는 각 지체인 교회구성원 각자가 자신의 역할과 본분을 잘 알고 행할 때, 올바르고 아름다운 전례를 거행할 수 있는 것이다.

전례와 신심행위의 구별은 선을 긋듯 딸 잘라 말하기는 어렵지만 신앙생활에 있어서 우선 되어야 할 것은 전례행위이다. 신심행위에 집착해 전례행이를 무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신앙의 자세라고 할 것이다.

전례 중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을 이루는 것은 7성사이다. 그리스도께서 직접 제정하셨고 그리스도의 구원업적을 잘 드러내는 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 병자성사, 고해성사, 성품성사, 혼인성사의 7성사는 전례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다. 때문에 교부들은 전례가 곧 성사라고 생각하는 이들도 있었다. 7성사 이외에 전례에는 준성사가 포함된다. 준성사는 예수그리스도께서 직접 제정한 7성사와는 달리 교회가 정한 것으로, 7성사를 효과적으로 받기 위한 것과 성사를 생활의 여러 분야에 적용시킨 것 들이 있다. 바로 성사를 모방해서 성사의 의미, 형식, 효과 등을 모방한 것으로 축성, 축복, 봉헌, 행렬 등이 이에 포함된다.


  1. 하느님의 자비 주일 전례 봉사자

    Date2016.04.04 By구암관리자 Views37
    Read More
  2. 3월 부활 대축일 전례 봉사자

    Date2016.03.27 By구암관리자 Views72
    Read More
  3. 3월 13일 전례 봉사자

    Date2016.03.13 By구암관리자 Views54
    Read More
  4. 28주일 전례 봉사자

    Date2016.02.28 By구암관리자 Views33
    Read More
  5. 11월 전례 봉사자

    Date2015.10.31 By구암관리자 Views161
    Read More
  6. 11월 성가 선곡

    Date2015.10.30 By구암관리자 Views145
    Read More
  7. 10월 전례 성가 선곡표

    Date2015.10.27 By구암관리자 Views49
    Read More
  8. 미사의 명칭

    Date2015.10.23 By구암관리자 Views132
    Read More
  9. 손·팔 동작, 안수, 행렬, 십자성호

    Date2015.10.23 By구암관리자 Views141
    Read More
  10. 무릎 꿇음, 앉음, 엎드림

    Date2015.10.23 By구암관리자 Views214
    Read More
  11. 서는 자세

    Date2015.10.23 By구암관리자 Views50
    Read More
  12. 전례와 신심행위

    Date2015.10.23 By구암관리자 Views120
    Read More
  13. 전례의 범위와 종류

    Date2015.10.23 By구암관리자 Views125
    Read More
  14. 전례의 본질

    Date2015.10.23 By구암관리자 Views127
    Read More
  15. 전례란 무엇인가?

    Date2015.10.23 By구암관리자 Views17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