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0||0이창섭 아우구스티노 신부님의 “5분 교리”

성당에서는 미사 중간 중간 왜 일어섰다, 앉았다 해야 되는 걸까요? 우리 구암동 본당에서는 다른 본당과 달리 심지어 무릎도 꿇어야 하는데... 도대체 왜 그런 걸까요? 교우 분들 중에는 의미는 잘 모르겠으나 남들 따라 보조 맞춰 기계적으로 따라 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미사, 즉 전례는 하느님께 드리는 공적인 예배 행위이자 경배의 예식입니다. 그리스도 안에 한 몸을 이루는 한 하느님의 백성이 같은 믿음을 표현하는 행위인 것입니다.
미사 중에 일어서는 행위는 하느님께 대한 존경의 자세이며, 가장 보편적인 기도의 자세입니다. 입당, 퇴장, 복음 봉독 등의 시간에는 하느님께 직접적인 경배를 표현하기 위해 앉아있다가도 일어서는 것이지요. 성경에서도 ‘하느님의 말씀을 들을 때에 서 있었다(출애 20,21 ; 에제 2,1 ; 다니엘 10,11)’라고 되어 있지요. 무릎을 꿇는 자세는 경배를 드리는 주님 백성들의 보편적 기도 자세입니다. 두 발로 서는 존재인 인간이 무릎을 꿇는다는 것은 스스로를 낮추고 작게 만드는 겸손의 몸짓이자 상대방에게 존경을 드러내는 동작이나 자세입니다.  하느님은 더없이 높으시고 거룩하시며 우주와 인간을 창조하신 분이므로, 먼지에 불과한 인간이 그 분 앞에 나설 때엔 자연히 경배의 자세로 무릎을 꿇게 되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도  겟세마니 동산에서 기도하실 때에 무릎을 꿇으셨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미사 중에 왜 일어섰다, 앉았다 해야 하는 걸까?(6.14)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6.24 169
143 말씀선포, 응답까지 한 세트(6/21) file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6.27 107
142 봉헌은 "기쁘게 자발적으로"(6/28) file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7.03 176
141 봉헌(奉獻)... ‘아낌없이 드리리!’ [2015-07-05] 이성훈 2015.07.11 208
140 "봉헌의 정신으로 살자!"(7/12)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7.22 190
139 밀떡과 포도주는 예수님 몸과 피(7/26)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8.15 506
138 포도주에 왜 물을 섞는가?(8/2)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8.15 238
137 거양성체(擧揚聖體)에 대해(8/9)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8.15 694
136 "왜 포도주는 안 줍니까?"(8/16) - 단형 영성체에 대해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8.16 262
135 ‘아멘’이라는 말의 뜻은?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9.02 509
134 『아 멘(Amen)!』(II)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9.20 284
133 전례1탄 – 호흡하듯 ‘계’와 ‘응’을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10.07 573
132 '전례' 2탄 - 핵심적 요소인 ‘준비’에 대해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10.07 106
131 예물 봉헌자가 인사할 때 교우들도 함께(7/19) file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7.25 357
130 전례 3탄 - 감사와 찬미 아타나시오 2015.12.06 241
129 전례 4탄 - 우리는 감사와 찬미의 도구 아타나시오 2015.12.06 201
128 영성체 하는 방법2탄 구암관리자 2015.12.06 903
127 11월은 위령의 달, “미사는 가장 큰 기도” 구암관리자 2015.12.06 255
126 영성체 신앙고백... “아멘!” 구암관리자 2015.12.06 263
125 영성체 (3) 구암관리자 2015.12.13 37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