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본문시작

2018.07.29 07:39

- 신앙 양식문 -

조회 수 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신비가가 광야에서 돌아오자 사람들이 열심히 물었다. “말씀해 주십시오. 하느님은 어떤 분이십니까?”

그러나 그 사람인들 마음 깊은 데서 겪은 것을 어찌 이루 말할 수 있으랴. 대체 진리를 말로 표현한다는 것이 가능한 일이랴.

결국 그는 사람들에게 신앙 양식문을 하나 지어 들려주었다. -- 아무래도 부정확하고 그야말로 부적절한 표현이기는 할지언정, 그런대로 행여나 그 양식문을 통해서 그가 체험했던 바를 스스로 체험해 보겠다는 마음이라도 생기겠거니 하며.

사람들은 그런데 그 양식문을 붙들고 늘어졌다. 그것을 바탕으로 성문서를 작성했고, 모든 사람에게 그것을 신성한 신조로서 믿도록 의무를 지웠으며, 해외로 나아가 큰 수고들을 하며 그것을 전파했다. 더러는 그것을 위하여 목숨마저 바쳤다.

신비가는 서글펐다. -- 그런 말일랑 아예 입 밖에 내지도 말았던들 차라리 나았을 것을..

앤소니 드 멜로 저 <종교박람회 속뜻 그윽한 이야기 모음> 중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 봉헌(奉獻)... ‘아낌없이 드리리!’ [2015-07-05] 이성훈 2015.07.11 208
23 봉헌은 "기쁘게 자발적으로"(6/28) file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7.03 176
22 말씀선포, 응답까지 한 세트(6/21) file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6.27 107
21 미사 중에 왜 일어섰다, 앉았다 해야 하는 걸까?(6.14)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6.24 169
20 영광송을 할 때 고개를 숙이는 이유는...(6.7)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6.24 608
19 전례 중의 '침묵'에 대해(5.17) file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6.24 46
18 작은 죄에 대한 용서를 받으려면(5.10)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6.18 228
17 미사의 시작과 끝은 언제인가?(5.3)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6.18 250
16 미사성제- 왜 주일미사 참례하나요?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6.18 213
15 ‘하느님’과 ‘하나님’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4.23 144
14 고해의 내용은 구체적으로 [고해성사 3탄]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4.18 1074
13 본당신부는 내영혼의 주치의[고해성사2탄]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4.18 76
12 비밀요원에서 정예요원으로(4.5 예수부활대축일 낮미사) 구자룡 아타나시오 (홍보분과위원) 2015.04.05 201
11 부활 대축일 미사 참례에 대해(4.4 예수부활성야미사에서) 구자룡 아타나시오 2015.04.05 569
10 판공성사에 대해(2015.3.22) file 구자룡 아타나시오 2015.03.27 152
9 봉헌(奉獻) [ 이창섭 아우구스티노 신부님의 “5분 교리” ] 이성훈 2015.03.12 326
8 고해성사 (1탄) [ 이창섭 아우구스티노 신부님의 “5분 교리” ] 이성훈 2015.03.03 391
7 [주일 3탄] 주일을 거룩히 지내라! 이성훈 2015.02.25 280
6 [주일 1탄] 일요일 vs. 주일 이성훈 2015.02.25 125
5 [주일 2탄] “주일을 거룩하게 지내지 않는 것은 사람을 죽이는 것보다 더 큰 잘못”- 이창섭 아우구스티노 신부님의 ‘피해갈 수 없는 5분 교리’ file 구자룡 아타나시오 2015.02.16 291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 9 Next
/ 9